검색결과
- KAIST Endowed Chair Professor
Research Interests Eletrolytes, batteries, interfacial analysis, polymers for eletrode binders Selected Publications “Replacing conventional battery electrolyte additives with dioxolone derivatives for high-energy-density lithium-ion batteries” Nature Commun. 2021, 12, 838 "An anti-aging electrolyte additive for high-energy-density lithium-ion batteries” Adv. Energy Mater. 2020, 10(20), 2000563 “Electrolyte Additive-Driven Interfacial Engineering for High-Capacity El...
- Associate Professor
Research Interests Eletrolytes, batteries, interfacial analysis, polymers for eletrode binders Selected Publications “Replacing conventional battery electrolyte additives with dioxolone derivatives for high-energy-density lithium-ion batteries” Nature Commun. 2021, 12, 838 "An anti-aging electrolyte additive for high-energy-density lithium-ion batteries” Adv. Energy Mater. 2020, 10(20), 2000563 “Electrolyte Additive-Driven Interfacial Engineering for High-Capacity El...
- [최남순 교수 연구실] 전해액 첨가제로 리튬금속전지 수명 높인다
▶ 아래 내용은 우리학교 홍보실에서 작성하여 학교 홈페이지에 게시한 자료입니다. ▶ 관련 연구성과 소식은 2021년 11월 16일 연합뉴스, 헤럴드경제, 아시아경제, 베리타스알파, 노컷뉴스 등 여러 언론매체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
- 최남순 교수 /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의 Associate Editor 선임
생명화학공학과 최남순 교수가 미국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에서 발간하는 세계적인 학술지인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IF =10.383)저널의 Associate Editor(부편집장)으로 선임되었다. 최남순 교수는 에너지 소재분야에서의 탁월한 연구업적을 인정받아 부편집장으로 선임되었으며 2022년 9월부터 에너지 소재분야(Battery and supercapacitor materials)의 투고논문에 대한 평가 활동을 시작한다. ...
- 최남순 교수 / 제2회 배터리 산업의 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 수상
우리 학과 최남순 교수가 우리나라 이차전지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11월 1일 JW 메리어트 호텔 서울에서 열린 '제2회 배터리 산업의 날 기념식 및 유공자 포상식' 행사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배터리의 날 (naver.com)
- [ 최남순 교수 연구실 ] 박사과정 김세훈 한국전기화학회 2022 춘계총회 및 학술발표회 우수포스터 발표상 수상
우리 학과 최남순 교수 연구실의 박사과정 김세훈 학생이 한국전기화학회 2022 춘계총회 및 학술발표회에서 우수포스터발표상을 수상하였다.
- [ 최남순 교수 연구실 ] 최고 수준의 전기차 배터리 첨가제 기술 개발
▶ 아래 내용은 우리 학교 홍보실에서 작성하여 학교 홈페이지에 게시한 자료이며, 관련기사는 조선비즈, 동아사이언스, 헤럴드경제, 에너지경제, 워크투데이 등 여러 매체에 소개되었습니다. < 생명화학공학과 최남순 교수 > 1회 충전에 500km 이상 운행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고용량, 고에너지밀도 이차전지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에 높은 가역용량을 가지는 니켈리치 양극과 흑연보다 10배가량 높은 용량을 발현하는 실리콘 음극 물질이 차세대 리튬이온전지의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 전해질 첨가제 연구는 기존 물질들의 스크리닝 기법을 통하여 시행착오를 거쳐 개발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어 신규 전극 소재에 대응하기 어려운 한계점을 보였다. 우리 대학 생명화학공학과 최남순 연구팀이 고려대 곽상규 교수팀, UNIST...
- 최남순 교수 / 한국공업화학회 미원상사미래여성인재상 수상
우리 학과 최남순 교수가 5월 11일 한국공업화학회 춘계학술대회 총회에서 '제1회 미원상사미래여성인재상'을 수상했다.
- [ 최남순 교수 연구실 ] 한국공업화학회 2023년도 춘계 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수상
우리 학과 최남순 교수 연구실의 박사과정 문현규 학생이 한국공업화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 [ 최남순 교수 연구실 ] 세계 최고 전기차 이차전지 수명 획기적 연장
▶ 아래 내용은 우리 학교 홍보실에서 작성하여 학교 홈페이지에 게시한 자료이며, 관련기사는 헤럴드경제, 아시아경제, 이뉴스투데이, 한국강사신문 등 여러 매체에 소개되었습니다. < 사진 1. 생명화학공학과 최남순 교수 > 전기차 시대의 가속화에 따라 1회 충전에 긴 주행거리를 가능하게 하거나 전 세계 평균 기온에 속하는 넓은 온도 범위(-20~60도)에서 충전과 방전을 할 수 있는 고용량, 고에너지밀도 이차전지 개발의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우리 대학 생명화학공학과 최남순 교수 연구팀이 넓은 온도 범위에서 리튬금속 전지의 높은 효율과 에너지를 유지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전해액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개발된 전해액은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솔베이션 구조를 형성했으며 안정적인 전극-전해질 계면 반응을 확보할 수 있는 첨가제 기술을 통해 리튬...
- [ 최남순 교수 연구실 ] 2023년 추계 한국공업화학회 우수논문상 수상
우리 학과 최남순 교수 연구실의 박사과정 김세훈, 이정아 학생이 2023년도 한국공업화학회 학술대회에서 우수구두발표논문상과 우수포스터발표논문상을 각각 수상하였다.
- [ 최남순 교수 연구실 ] 4.55V 고전압 리튬이온전지 전해액 기술 개발
▶ 아래 내용은 우리 학교 홍보실에서 작성하여 학교 홈페이지에 게시한 자료를 인용합니다. < (왼쪽부터) 생명화학공학과 최남순 교수, 김세훈 박사과정, 이정아 박사과정 > 전기차 시대의 가속화에 따라 1회 충전에 긴 주행거리를 가능하게 하는 고용량, 고에너지밀도 이차전지 개발과 더불어 빠르게 충전을 할 수 있는 고속 충전 기술 개발의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우리 대학 생명화학공학과 최남순 교수 연구팀이 고전압 조건에서 리튬이온전지의 높은 효율과 에너지를 유지하고 고속 충전이 가능한 전해액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개발된 전해액은 점도가 낮으면서 고전압에 안정적인 용매를 사용하였으며 안정적인 전극-전해질 계면 반응을 확보할 수 있는 첨가제 기술을 통해 리튬이온전지의 수명 특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최남순 교수 연구팀은 상용 리튬이온전지에 사용되고 있는 카...
- [ 최남순 교수 연구실 ] 세계 최고 수준 리튬 금속배터리 용매 개발
▶ 아래 내용은 우리 학교 홍보실에서 작성하여 학교 홈페이지에 게시한 자료를 인용하며, 연합뉴스, 헤럴드경제, 디지털타임즈, 전자신문, 베리타스알파 등 여러 매체에 소개되었습니다. < (왼쪽부터) 생명화학공학과 최남순 교수, 김세훈 박사과정 > 휴대용 전자기기 및 전기차 등에 적용해 1회 충전에 많은 에너지를 저장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고 에너지밀도 이차전지 개발의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한국 연구진이 리튬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고전압 구동시 안정성을 높여줄 용매를 개발하여 화제다. 우리 대학 생명화학공학과 최남순 교수팀이 UNIST 화학과 홍성유 교수팀,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이규태 교수팀,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곽상규 교수팀, 경상국립대 나노·신소재공학부 고분자공학전공 이태경 교수와 공동연구를 통해 4....
- [최남순 교수 연구실 ] 전해질 첨가제로 최초 장수명 배터리 기술 개발
▶ 아래 내용은 우리 학교 홍보실에서 작성하여 학교 홈페이지에 게시한 자료를 인용하며, 연합뉴스, 동아사이언스, 아시아경제, 전자신문 등 여러 매체에 소개되었습니다. < 생명화학공학과 최남순 교수 > 1회 충전에 500km 이상 운행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고에너지밀도 전지가 필수적이다. 팩 단위*에서 고에너지 밀도가 확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리튬인산철 양극은 낮은 전자전도도를 가져 계면층을 형성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KAIST 연구진이 리튬인산철 양극의 낮은 전자전도도를 개선한 전해질 첨가제를 개발하여 화제다. * 팩단위: 현재 전기차용 배터리는 단일 전지(Cell)를 적층하여 배터리 관리시스템(BMS)과 냉각장치가 포함된 모듈(Module)을 구성하고, 이를 다시 모아 관리시스템으로 구성한 팩(Pack)으로 구성되어 있음 ...
- [ 최남순 교수 연구실 ] 한국공업화학회 2024년도 춘계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수상
우리 학과 박사과정 이정아(구두발표), 송채은(포스터발표), 한승희(포스터 발표) 학생이 2024년도 춘계 공업화학회 학술대회에서 각각 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다.
- [ 최남순 교수 연구실 ] 전기차 차세대 무음극 배터리 퇴화 막을 수 있다
▶ 아래 내용은 우리 학교 홍보실에서 작성하여 학교 홈페이지에 게시한 자료를 인용하며, 아시아경제, 베리타스알파, 전자신문 등 여러 매체에 소개되었습니다. < (앞줄 왼쪽부터) KAIST 이정아 박사과정, 강하늘 석사과정, (뒷줄 왼쪽부터) 김세훈 박사과정, 최남순 교수 >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무음극 배터리는 1회 충전에 800㎞ 주행, 1,000회 이상 배터리 재충전이 가능할 것을 전망하는 꿈의 기술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으로 구성되는데, 무음극 배터리는 음극이 없어 부피가 감소하여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지만 리튬금속 배터리에 비해 성능이 현저하게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우리 연구진이 무음극 배터리를 고성능화시킬 방안을 제시했다. 우리 대학 생명화학공학과 최남순 교수 연구팀이 전극 계면에서 일어나는 반...
- [ 최남순 교수 연구실 ] 2024년 추계 한국공업화학회 우수논문상 수상
우리 학과 최남순 교수 연구실의 석사과정 김민지, 이태경 학생이 2024년도 추계 공업화학회 학술대회에서 우수 논문 포스터상을 수상하였다.
- 이상엽, 이진우, 김범준, 최남순, 정희태, 김신현, 배태현, 김현욱 교수 / 2024 공과대학 Impact Research 포상 수상
2024년 공과대학 국제적 위상 제고 및 다양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에 기여한 교원을 대상으로 포상하는 Impact Research 포상에 우리 학과 이상엽, 이진우, 김범준, 최남순, 정희태, 김신현, 배태현, 김현욱 교수가 선정되었다. 선정기준은 교무처에서 제공한 최근 5년간 FWCI지수를 활용하여 학교 평균 이상이며, 대상기간 중 논문수 10편 초과 또는 구글 h-index 20 초과 등을 고려하여 포상 수상자 그룹을 선정한다. &nb...
- 김범준, 최남순 교수 / KAIST 미래선도기술 대표연구성과 선정
KAIST는 2023~2024년 미래선도 대표기술을 선정하여 리서치데이(4월 30일 예정)에서 시상한다. 그 가운데 탄소중립분야로 우리 학과 김범준 교수의 '극한 환경에서 작동가능한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소재 개발(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All-Solid-State Battery Materials Capable of Operating in Extreme Environments)'기술과 이차전지 분야에서 최남순 교수의 '오래쓰는 이차전지 전해액(Long- Lasting Electrolytes for Secondary Batteries)' 기술이 선정되었다. < 김범준 교수 > ...
- [최남순 교수 연구실 ] 전기차 리튬배터리 충전 15분이면 끝!
▶ 아래 내용은 우리 학교 홍보실에서 작성하여 KAIST 홈페이지에 게시한 자료를 인용하며, 연합뉴스, 에너지경제,디지털타임즈, 노컷뉴스 등 여러 매체에 소개되었습니다. < 왼쪽부터 생명화학공학과 송채은 박사과정, 최영우 석박사통합과정, 최남순 교수, 한승희 박사과정 > 전기차(EV) 시장의 성장과 함께 리튬이온 배터리의 충전 시간을 단축하는 기술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우리 연구진이 충전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전기차 리튬 배터리의 혁신적 전해질 기술을 개발 하여 충전 시간을 15분으로 단축시키는데 성공했다. 우리 대학생명화학공학과 최남순 교수 연구팀이 신소재공학과 홍승범 교수 연구팀과 협력 연구를 통해 새로운 전해질 용매 ‘아이소부티로니트릴(isoBN)’을 개발하여 배터리내 리튬 이온...
- [ 이진우 교수 / 최남순 교수 연구실 ] 첨가제 하나로 리튬 금속 전지 짧은 수명 극복
▶ 아래 내용은 한국연구재단에서 게시한 자료를 인용합니다. 우리 학과 이진우 교수 연구팀은 최남순 교수 연구팀, 경상국립대 이태경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리튬 금속 전지의 낮은 수명 특성을 개선하고, 고속 충/방전과 고전압 성능을 높이는 나노 입자 전해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공동연구팀은 비불소계 나노 질화규소를 전해질에 첨가해 리튬 이온의 용매화 구조를 정밀하게 조절하고, 무기질이 풍부한 안정적인 고체전해질 계면층을 형성하는데 성공했다. 또한 질화규소는 전해질의 분해로 발생하는 부식성 불화수소를 효과적으로 포집함으로써 양극 부식을 억제했고, 고전압 환경에서도 계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렇게 개발한 나노 입자 전해질을 적용한 리튬 금속 전지는 실용적인 조건은 물론 고온(50℃), 고속 충·방전(1C), 고전압(4.5V) 환경에...
- 김범준 교수, 최남순 교수 / 2025년 KAIST 14대 미래선도기술 대표연구성과 표창
2025년도 KAIST 리서치데이에서 KAIST 14대 미래선도기술 대표연구성과로 김범준 교수(극한환경에서 작동가능한 차세대 전고체배터리 소재 개발)와 최남순 교수(오래쓰는 이차전지 전해액)가 선정되었다. 리서치데이는 4월 30일 학술문화관 정근모콘퍼런스홀에서 개최되었다.
- [ 최남순 교수 연구실 ] 2025년 춘계 한국전기화학회 학생발표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우리 학과 최남순 교수 연구실의 박사과정 이정아 학생이 2025년도 춘계 한국전기화학회 학술대회에서 학생발표경진대회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 [ 최남순 교수 연구실 ] 2025년 춘계 한국공업화학회 우수논문발표상 수상
우리 학과 박사과정 이정아학생이 우수구두발표상, 박사과정 김보근, 신권교 학생과 석사과정 윤지원 학생이 우수 포스터 발표 논문상을 수상하였다.
- [최남순 교수 연구실] 전해액 첨가제로 리튬금속전지 수명 높인다
▶ 아래 내용은 우리학교 홍보실에서 작성하여 학교 홈페이지에 게시한 자료입니다. ▶ 관련 연구성과 소식은 2021년 11월 16일 연합뉴스, 헤럴드경제, 아시아경제, 베리타스알파, 노컷뉴스 등 여러 언론매체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
- 최남순 교수 /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의 Associate Editor 선임
생명화학공학과 최남순 교수가 미국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에서 발간하는 세계적인 학술지인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IF =10.383)저널의 Associate Editor(부편집장)으로 선임되었다. 최남순 교수는 에너지 소재분야에서의 탁월한 연구업적을 인정받아 부편집장으로 선임되었으며 2022년 9월부터 에너지 소재분야(Battery and supercapacitor materials)의 투고논문에 대한 평가 활동을 시작한다. ...
- 최남순 교수 / 제2회 배터리 산업의 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 수상
우리 학과 최남순 교수가 우리나라 이차전지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11월 1일 JW 메리어트 호텔 서울에서 열린 '제2회 배터리 산업의 날 기념식 및 유공자 포상식' 행사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배터리의 날 (naver.com)
- [ 최남순 교수 연구실 ] 박사과정 김세훈 한국전기화학회 2022 춘계총회 및 학술발표회 우수포스터 발표상 수상
우리 학과 최남순 교수 연구실의 박사과정 김세훈 학생이 한국전기화학회 2022 춘계총회 및 학술발표회에서 우수포스터발표상을 수상하였다.
- 2022년 가을학기 생명화학공학과 국비TA/CA 선발 공고
2022년 가을학기 생명화학공학과 국비TA/CA 선발 공고 ○ 신청기간: 2022.8.11.(목) - 8.16.(월) ○ 신청방법: 학과사무실로 지원서 제출 ○ 문의: 이보람 (내선 3902, leebr@kaist.ac.kr), 가급적 메일 문의 부탁 드립니다. 1. 국비 TA l 자격요건: 재학연차 내 국비 대학원생 (석사 입학 후 2년 이내, 박사 입학 후 4년 이내) l 대학원생 장학금 총액이(국비 수당, 수탁연구조사연구비 등 포함)이 최저 생계비 미달(석사 월 70만원, 박사 월 100만원)인 학생 및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학생 우선 지원 l 수당: 박사과정 550,000원/월, 석사과정 535,000원/월 * I/II 유형으로 나뉘며, II유형으로 선발될 경우 수당은 위 금액의 1/2 이며, 과목별 유형은 담당교수와 대학원과정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결정 예정입니다. * 국비 TA 배정인원은 아직 확정이 아닌 관계로 사전공지 없이 변동 가능성 있습니...
- 2023년 봄학기 생명화학공학과 국비TA/CA 선발 공고(2/10-2/15 12:00)
2023년 봄학기 생명화학공학과 국비TA/CA 선발 공고 ▣ 신청기간: 2023. 2. 10 .(금) - 2. 15. (수) 12:00 ▣ 신청방법: 학과사무실로 지원서 제출 ▣ 문의: 이보람 (내선 3902, leebr@kaist.ac.kr) 1. 국비 TA l 자격요건: 재학연차 내 국비 대학원생 (석사 입학 후 2년이내, 박사 입학 후 4년이내) l 대학원생 장학금 총액이(국비 수당, 수탁연구조사연구비 등 포함)이 최저 생계비 미달(석사 월 80만원, 박사 월 110만원)인 학생 및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학생 우선 지원 l 수당: 박사과...
- 2024년 봄학기 생명화학공학과 국비TA/CA 선발 공고(2/5-2/13 18:00)
2024년 봄학기 생명화학공학과 국비TA/CA 선발 공고 ○ 신청기간: 2024. 2. 5.(월) ~ 2. 13.(화) 18:00 ○ 신청방법: 학과사무실로 지원서 직접 제출 - 전문연이 지원할 경우, "전문연 조교활동 서약서" 제출 필수 1. 국비 TA - 자격요건: 재학연차 내 국비 대학원생(석사 입학 후 2년 이내, 박사 입학 후 4년 이내) * 대학원생 장학금 총액이(국비 수당, 수탁연구조사연구비 등 포함)이 최저 생계비 미달(석사 월 80만원, 박사 월 110만원)인 학생 및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학생 우선 지원 - I 유형 ...
- 2024년 가을학기 생명화학공학과 국비TA/CA 선발 공고 (8/16-8/20 18:00)
2024년 가을학기 생명화학공학과 국비TA/CA 선발 공고 ○ 신청기간: 2024. 8. 16.(금) ~ 8. 20.(화) 18:00 ○ 신청방법: 학과사무실로 지원서 직접 제출 - 전문연이 지원할 경우, "전문연 조교활동 서약서" 제출 필수 1. 국비 TA - 자격요건: 재학연차 내 국비 대학원생(석사 입학 후 2년 이내, 박사 입학 후 4년 이내) * 대학원생 장학금 총액이(국비 수당, 수탁연구조사연구비 등 포함)이 최저 생계비 미달(석사 월 80만원, 박사 월 110만원)인 학생 및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학생 우선 지원 - I 유형&nb...
- 2025년 봄학기 생명화학공학과 국비TA/CA 선발 공고 (2/10-2/12 18:00)
2025년 봄학기 생명화학공학과 국비TA/CA 선발 공고 ○ 신청기간: 2025. 2. 10.(월) ~ 2. 12.(수) 18:00 ○ 신청방법: 학과사무실로 지원서 직접 제출 - 전문연이 지원할 경우, "붙임2_전문연 조교활동 서약서" 제출 필수 1. 국비 TA - 자격요건: 재학연차 내 국비 대학원생(석사 입학 후 2년 이내, 박사 입학 후 4년 이내) * 대학원생 장학금 총액이(국비 수당, 수탁연구조사연구비 등 포함)이 최저 생계비 미달(석사 월 80만원, 박사 월 110만원)인 학생 및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학생 우선 지원 - ...
- 2022년 가을학기 생명화학공학과 국비TA/CA 선발 공고
2022년 가을학기 생명화학공학과 국비TA/CA 선발 공고 ○ 신청기간: 2022.8.11.(목) - 8.16.(월) ○ 신청방법: 학과사무실로 지원서 제출 ○ 문의: 이보람 (내선 3902, leebr@kaist.ac.kr), 가급적 메일 문의 부탁 드립니다. 1. 국비 TA l 자격요건: 재학연차 내 국비 대학원생 (석사 입학 후 2년 이내, 박사 입학 후 4년 이내) l 대학원생 장학금 총액이(국비 수당, 수탁연구조사연구비 등 포함)이 최저 생계비 미달(석사 월 70만원, 박사 월 100만원)인 학생 및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학생 우선 지원 l 수당: 박사과정 550,000원/월, 석사과정 535,000원/월 * I/II 유형으로 나뉘며, II유형으로 선발될 경우 수당은 위 금액의 1/2 이며, 과목별 유형은 담당교수와 대학원과정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결정 예정입니다. * 국비 TA 배정인원은 아직 확정이 아닌 관계로 사전공지 없이 변동 가능성 있습니...
- Geometric Design of Interface Structures and Electrolyte Solvation Chemistry for Fast Charging Lithium-Ion Batteries
ㅇ [Title] Geometric Design of Interface Structures and Electrolyte Solvation Chemistry for Fast Charging Lithium-Ion Batteries ㅇ [Journal] Advanced Materials (IF: 27.4) &nb...
20211116_최남순교수연구실_전해액_첨가제(사진자료).JPG
6__프로필사진_최남순_(1).jpg
6__프로필사진_최남순.jpg
20230515_최남순_한국공업화학회_.jpg
20230515_최남순_한국공업화학회_2JPG.jpg
20230714_한국공업화학회_최남순교수_문현규.JPG
20231220_최남순_교수님_연구실_김세훈_우수_논문_구두상.jpg
20231220_최남순_교수님_연구실_이정아_우수_논문_포스터상.jpg
20240531_최남순교수_이정아.JPG
20240531_최남순교수_송채은.JPG
20240531-최남순교수_한승희.jpg
20241105_최남순교수_김민지_이태경.jpg
6__프로필사진_최남순.jpg
6__프로필사진_최남순.jpg
20250318_최남순_교수_Nature.jpg
20250430-20250502_연구의날_최남순최남순교수_리서치데이_900.jpg
20250516_최남순_이정아.jpg
20250623_최남순교수_이정아.JPG
20250623_최남순교수_김보근.JPG
20250623_최남순교수_신권교.JPG
20250623_최남순교수_윤지원.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