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희탁 교수 연구실 ] 도심 항공 모빌리티는 리튬황전지로 세대교체 가능
  • 관리자 |
  • 2025-01-02 14:07:45|
  • 96
  • 관련보도링크


▶ 아래 내용은 우리 학교 홍보실에서 작성하여 학교 홈페이지에 게시한 자료를 인용하며,  동아사이언스, 전자신문, 한국강사신문 등 여러 매체에 소개되었습니다.





 

(앞줄 왼쪽부터) 김일주 박사과정,김희탁 교수 (뒷줄 왼쪽부터) 김세진 박사과정, 신예원 석사과정, 김동우 석사과정, 조혜나 석사

 

< (앞줄 왼쪽부터) 김일주 박사과정,김희탁 교수 (뒷줄 왼쪽부터) 김세진 박사과정, 신예원 석사과정, 김동우 석사과정, 조혜나 석사 >




 

전기자동차 시장의 성장에 이어, 항공 교통을 연결하는 도심 항공 모빌리티(Urban Air Mobility, UAM) 시장이 배터리 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항공 모빌리티를 위한 에너지원으로는 쓰이는

기존 상용 리튬이온전지는 무게당 에너지밀도가 낮은 한계점이 있어 대학과 기업 공동연구진이 이를 극복할 차세대 기술로 활용될 혁신적인 리튬황전지를 개발해서 화제다. 



 

우리 대학 생명화학공학과 김희탁 교수팀이 LG에너지솔루션 공동연구팀과 협력 연구를 통해 배터리의 안정적 사용을 위해 전해액 사용량이 줄어든 환경에서 리튬황전지 성능 저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

으로 성능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중국 CATL社는 2023년 ‘응축 배터리(Condensed battery)’기술을 발표하며 항공용 배터리 시장을 준비하고 있음을 밝힌 바 있다. 이와 같은 흐름 속에서, 기존 리튬이온전지를 뛰어넘는 차세대 기술로 리튬황

전지가 주목받고 있다. 리튬황전지는 기존 리튬이온전지 대비 2배 이상의 무게당 에너지밀도를 제공할 수 있어 UAM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기존 리튬황전지 기술은 배터리의 안정적 구동을 위해 많은 양의 전해액이 필요해 전지 무게가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에너지밀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전해액 사용량을 줄이는 희박 전해액

환경에서는 성능 열화가 가속화되는 한편, 퇴화 메커니즘조차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UAM용 리튬황전지 개발이 난항을 겪어 왔다. 


 

연구팀은 전해액 사용량을 기존 대비 60% 이상 줄이고도 400Wh/kg 이상의 에너지밀도를 구현하는 리튬황전지를 개발했다. 이는 상용 리튬이온전지보다 60% 이상 높은 에너지밀도를 가지며, 안정적인 수명

특성을 확보해 UAM용 배터리의 가장 큰 장애물을 극복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림 1. KAIST-LGES FRL 리튬금속전지 기술 관련 인포그래픽


 

< 그림 1. KAIST-LGES FRL 리튬금속전지 기술 관련 인포그래픽 >




 

연구팀은 다양한 전해액 환경을 실험하며, 성능 저하의 주요 원인이 전극 부식으로 인한 전해액 고갈임을 밝혀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불소화 에테르 용매를 도입해 리튬 금속 음극의 안정성과 가역성을

높이고 전해액 분해를 줄이는 데 성공했다. 


 

생명화학공학과 김일주 박사과정 학생이 제 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에너지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터리얼즈(Advanced Energy Materials)’에 게재되며 그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논문 제목: Moderately Solvating Electrolyte with Fluorinated Cosolvents for Lean-Electrolyte Li-S Batteries,
 

DOI: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aenm.202403828)




 

그림 2. 전해액 설계 원리


 

< 그림 2. 전해액 설계 원리 >



 


 

연구 책임자인 우리 대학 김희탁 교수는 “이번 연구는 리튬황전지에서 전해액 설계를 통한 전극 계면 제어의 중요성을 밝힌 의미 있는 연구로 대학과 기업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진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UAM

과 같은 차세대 모빌리티 배터리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큰 진전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KAIST와 LG에너지솔루션은 앞으로도 차세대 모빌리티를 위한 배터리 기술 협력을 강화해, 새로운 배터리 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다.




 

그림 3. 기준 전해액 대비 최적 전해액 성능


 

< 그림 3. 기준 전해액 대비 최적 전해액 성능 >




 

이번 연구는 2021년 KAIST와 LG에너지솔루션이 공동 설립한 ‘프론티어 리서치 랩(Frontier Research Laboratory)’에서 수행됐으며, 또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