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남순 교수 연구실 ] 4.55V 고전압 리튬이온전지 전해액 기술 개발​
  • 관리자 |
  • 2024-02-14 17:26:46|
  • 572
  • 관련보도링크

▶ 아래 내용은 우리 학교 홍보실에서 작성하여 학교 홈페이지에 게시한 자료를 인용합니다.







(왼쪽부터) 생명화학공학과 최남순 교수, 김세훈 박사과정, 이정아 박사과정

 

< (왼쪽부터) 생명화학공학과 최남순 교수, 김세훈 박사과정, 이정아 박사과정 >





 

전기차 시대의 가속화에 따라 1회 충전에 긴 주행거리를 가능하게 하는 고용량, 고에너지밀도 이차전지 개발과 더불어 빠르게 충전을 할 수 있는 고속 충전 기술 개발의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우리 대학 생명화학공학과 최남순 교수 연구팀이 고전압 조건에서 리튬이온전지의 높은 효율과 에너지를 유지하고 고속 충전이 가능한 전해액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개발된 전해액은 점도가

낮으면서 고전압에 안정적인 용매를 사용하였으며 안정적인 전극-전해질 계면 반응을 확보할 수 있는 첨가제 기술을 통해 리튬이온전지의 수명 특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최남순 교수 연구팀은 상용 리튬이온전지에 사용되고 있는 카보네이트 계열의 용매 대신 점도가 낮고 고전압 조건에서 안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용매 조성 기술과 전극계면 보호 기술을 적용해 기존 연구 결과

보다 현저하게 향상된 *가역 효율 (99.9% 이상)을 달성했다.

 

☞ 가역 효율 : 매 사이클마다 전지의 방전용량을 충전용량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낸 값으로 배터리의 가역성을 의미함. 가역 효율이 높을수록 매 사이클마다 배터리 용량 손실이 적음을 의미함. 아무리 높은

용량을 구현하는 배터리라도 가역성이 높지 않다면 실용화가 어려움. 


 

또한, 첫 사이클 방전 기준 용량 대비 200 사이클에서의 방전 기준 용량까지를 용량 유지율 측정하였는데 개발된 전해액 기술은 고온 (45도)에서 4.5 V의 충전 전압 조건에서 89.9%의 높은 용량 유지율을 보였

으며 4.53 V의 충전 전압 조건에서도 77.0%의 높은 용량 유지율을 보였다. 개발 전해액 조성의 경우 기존 상용 최고 수준 기술 대비 약 10~15% 이상의 높은 용량 유지율을 보여줬다. 뿐만 아니라, 4.55 V의 혁신

적인 충전 전압 조건에서도 200회 사이클 후 61.7%의 높은 용량 유지율을 보여주는 등 우수한 수명 특성을 보여줬다.






 

그림 1. (상단) 기준 전해액과 (하단) 개발 전해액 조성의 작동 메커니즘 모식도. DEC : diethyl carbonate, EB : ethyl butyrate, LiFMDFB : lithium fluoromalonato(difluoro)borate, FEC : fluoroethylene carbonate, HTCN : 1,3,6-hexanetricarbonitrile, TMSP : tris(trimethylsilyl) phosphite



 

< 그림 1. (상단) 기준 전해액과 (하단) 개발 전해액 조성의 작동 메커니즘 모식도. DEC : diethyl carbonate, EB : ethyl butyrate, LiFMDFB : lithium fluoromalonato(difluoro)borate, FEC : fluoroethylene

carbonate, HTCN : 1,3,6-hexanetricarbonitrile, TMSP : tris(trimethylsilyl) phosphite >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전해액 설계 기술은 리튬 코발트 산화물 양극을 사용해 4.5 V 이상의 고전압 그리고 1.5C (45분 충전)의 빠른 충전 조건에서 극대화된 성능을 얻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여기에

더해 60도 고온 저장에서도 저장 성능이 향상됨도 확인했다. 특히 고에너지밀도 리튬이온전지용 전해액 기준 프레임을 제시한 바, 이는 리튬이차전지 전해액 설계에서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그림 2. 전해액 조성과 충전 전압에 따른 LiCoO2/graphite 풀 셀의 방전 용량 (discharge capacity)과 가역 효율 (쿨롱 효율, Coulombic efficiency) 그래프. (상단) 4.5 V 충전 구동, (중간) 4.53 V 충전 구동, (하단) 4.55 V 충전 구동.

 

< 그림 2. 전해액 조성과 충전 전압에 따른 LiCoO2/graphite 풀 셀의 방전 용량 (discharge capacity)과 가역 효율 (쿨롱 효율, Coulombic efficiency) 그래프. (상단) 4.5 V 충전 구동, (중간) 4.53 V 충전 구동, (하단) 4.55 V 충전 구동. >




 

이번 논문의 공동 제1 저자인 우리 대학 생명화학공학과 김세훈 박사과정은 “높은 산화안정성 및 저점도 특성을 가지는 용매 적용에 따른 고전압 안정성 및 고속 충전 특성 향상과 전해액 첨가제에 의한 안정

적인 전극-전해질 계면 형성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기존에 보고된 리튬이온전지용 전해액 기술 개발의 한계를 뛰어넘는 기술을 개발하게 됐다ˮ라고 말했다. 또한, “상용 리튬이온전지에서 사용하는 수준의

높은 로딩의 리튬 코발트 산화물 양극을 사용하여 전지의 수명 특성을 극대화했기 때문에 산업에의 빠른 적용 및 향후 고에너지밀도 전지 시스템 설계에 있어 이정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그림 3. 기준 전해액 조성과 개발 전해액 조성의 LiCoO2/graphite 풀 셀 200 사이클 후 LiCoO2 양극과 graphite 음극 표면 SEM 이미지

 

< 그림 3. 기준 전해액 조성과 개발 전해액 조성의 LiCoO2/graphite 풀 셀 200 사이클 후 LiCoO2 양극과 graphite 음극 표면 SEM 이미지 >




 

최남순 교수는 "개발된 전해액 기술은 상용 용매로 사용되고 있는 카보네이트 유기용매의 부족한 고전압 내구성을 에스테르 용매로 획기적으로 극복하였으며 이를 통해 배터리 충전과정에서 가스 발생을 최소화

하는 고전압 전해액 시스템을 구축했다ˮ라고 말했다. 또한, "이러한 고전압 용매 조성과 전해액 첨가제 조합 기술은 리튬이온전지의 한계 에너지밀도를 끌어올리기 위한 전해액의 고전압화를 위한 돌파기술

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ˮ라고 연구의 의미를 강조했다.



 

그림 4. 기준 전해액 조성과 개발 전해액 조성의 LiCoO2/graphite 풀 셀 200 사이클 후 LiCoO2 양극의 TEM 이미지

 

< 그림 4. 기준 전해액 조성과 개발 전해액 조성의 LiCoO2/graphite 풀 셀 200 사이클 후 LiCoO2 양극의 TEM 이미지 >




 

이번 연구에서 생명화학공학과 최남순 교수와 김세훈, 이정아 연구원은 리튬이온전지의 고전압 구동을 위한 새로운 전해액 조성 기술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작동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경상국립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나노·신소재공학부 고분자공학 전공) 이태경 교수와 이동규, 손준수 연구원은 전해액 용매 및 첨가제의 작동 메커니즘을 계산화학을 통해 구체화하는 연구를 진행

하였다.


 이번 연구는 저명한 국제 학술지 `에이시에스 에너지 레터즈 (ACS Energy Letters)'에 1월 12일자로 발간되었으며 커버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논문명 : Designing Electrolytes for

Stable Operation of High-Voltage LiCoO2 in Lithium-Ion Batteries).  
이번 연구 수행은 삼성 에스디아이 (Samsung SDI)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그림 5. ACS Energy Letters 커버 이미지

 

< 그림 5. ACS Energy Letters 커버 이미지 >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