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성일 교수 공동연구팀 '이산화탄소변환 고성능 아연촉매 개발'
  • 관리자 |
  • 2016-07-27 11:29:43|
  • 20057
  • 관련보도링크

   우리학과 우성일 교수와 EEWS 김형준 교수 공동연구팀이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CO2)를 높은 효율로 환원시킬 수 있고 내구성이 강한 육강형 아연 촉매를 개발했다.  

 

연구결과는 화학분야 국제학술지 "앙게반테 케미(Angewan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6월 28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아래는 우리학교 기관 홈페이지에 실린 해당 연구결과 소식이며, 7월 26일 연합뉴스, YTN, 노컷뉴스, 세계일보, 동아사이언스 등 여러 언론매체에도 해당 연구성과가 소개되었다. 

 

-----------------------------------------------------------------------------------------------------------------------------------------------------

  

  〈 우 성 일 교수 〉              〈 김 형 준 교수 〉

 
우리 대학 생명화학공학과 우성일 교수와 EEWS 대학원 김형준 교수 공동연구팀이 이산화탄소를 높은 효율로 환원시킬 수 있고 내구성이 강한 육각형 아연 촉매를 개발했다.

 

연구 결과는 화학분야 학술지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6월 28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이산화탄소는 온실가스로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알려져 있다. 이산화탄소를 탄소의 자원으로 사용해 연료를 만든다면 기후 문제는 물론 에너지 고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 기술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 개발을 위해서는 열역학적으로 안정적인 이산화탄소를 성공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촉매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팀은 문제 해결을 위해 전기화학적 시스템과 아연을 이용했다. 전기화학적 시스템은 여러 이산화탄소 변환 시스템 중 태양에너지처럼 지속가능한 전기에너지와 결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각광받고 있다.

 

아연은 이산화탄소 변환 촉매 중 일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과, 같은 특성을 갖는 금, 은에 비해 2만분의 1에 불과한 저렴한 가격 경쟁력을 갖는다. 그러나 부족한 성능으로 인해 많은 주목을 받지 못했다.

 

연구팀은 아연 촉매의 성능 향상을 위해 화학 반응에 참여하는 부분의 표면적을 최대한 넓혔다. 그리고 흡착에너지를 수월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전기화학적 증착법을 통해 육각형 형태로 배열된 아연 촉매를 제작했다.

 

육각형이라는 구조적 특성은 효율적인 이산화탄소 변환을 가능하게 했고, 선택적으로 일산화탄소가 생성되고 부산물로 수소가 발생했다. 일산화탄소와 수소는 합성가스(syngas)로서 탄화수소 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 유용한 원료이다.

 

연구팀은 이 육각형 아연 촉매에 가하는 전압에 따라 일산화탄소와 수소 생성 비율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각각 잘 생성하는 아연의 결정면이 Zn(101)과 Zn(002)임을 밀도범함수이론(density functional theory) 계산을 통해 이론적으로 밝혔다.

 

향후 이 두 면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공정이나 생성물의 비율을 얻을 수 있음을 규명했다.

 

육각형 아연 촉매는 이산화탄소 변환의 반응 선택성을 의미하는 페러데이 효율(Faradaic efficiency)에서 95%를 기록했고, 이 성능이 30시간 이상 지속돼 기존 귀금속을 포함한 모든 일산화탄소 생성 촉매 중 가장 긴 시간 동안의 안정성을 보였다.

 

연구팀은 태양에너지와 같은 신재생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얻고, 이산화탄소를 환원시켜 일산화탄소 및 수소를 생성하고 이 합성가스를 피셔-트롭쉬 반응에 직접 이용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추가적인 이산화탄소 배출 없이도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진 탄화수소 연료 생산이 가능해진다고 밝혔다.

 

우 교수는 “생산한 연료들을 연소하면 다시 이산화탄소와 물이 발생하므로 이것이야말로 지속가능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생명화학공학과 원다혜 박사과정 학생이 제 1저자로 참여하여 수행했다.

  

□ 그림 설명

  

그림1. 육각형 아연 촉매 위에서의 반응 모식도

 

 

 

그림2. 육각형 아연 촉매의 FE-SEM 이미지

 

 

 

그림3. 장시간 진행된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그림4. 밀도범함수계산 결과 (Free energy diagram)

 





 

첨부파일